번역 캣툴을 MemoQ로 하기로 하고 Term base를 만드는 중이다.

이미지
스마트캣이 사실 트라도스의 멀티텀과 아주 비슷해서, 구조를 만들고 익스포트해서 필드 이름만 따고 나면 기존의 것과 매칭하기는 아주 쉬웠는데, 그래도 결론적으로는 메모큐를 쓰기로 했다. 사용성이 좋다고 이름난 메모큐를 써보고 싶기도 하고, 현재 프로젝트가 메모큐 클라우드로 하고.. 과연 피할 길이 없는지가 아직 확실히 결론난 건 아니지만 스마트캣의 유료 쓰라고 뜨는 메시지가 넘 귀찮아서.. 그리고 아무래도 나한테는 피씨용 단독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ms오피스가 아무리 웹에서 잘 돌아간다고 해도 애드인 사용이나 매크로 때문에 피씨용으로 돌아오게 되는 것처럼, 습관이란 참 바꾸기 어렵다. 보통 캣툴 쓰려면 교육도 받고 초반에 힘들어 한다는데, 트라이얼 써보면 대략 감이 잡힌다. (문제는 프리랜서들이 갑자기 들어오는 일을 해야 하는데 그러느라 새 프로그램 습득 집중해야 할 트라이얼 기간이 다 가버린다는 것이지..) 소프트웨어 매뉴얼들을 보면 그 성격이, 당장 사용자가 손으로 해야할 것부터 전진 배치하는 것과 일단 만드는 곳에서 내세우는 목적이나 안에 숨은 성질, 구조를 먼저 설명하는 것으로 나뉜다고 보는데, 개인적으로 후자를 선호한다. 결국에는 잘 쓰려면 다 알아야 하는데 먼저 '의도'를 보고 가는 게 전체적으로 습득 속도가 더 빠르다고나 할까... 그리고 앱/프로그램이 사람을 편하게 해주는 것이라고 해서, 모든 사람의 생산성을 늘리는 것은 아니다. 아니, 목적은 그게 맞는데, 쓰는 사람에게 안 맞는 경우는 항상 있지 않나. 학생 때 레포트에 썼던 것처럼 난 여전히, 그것이 목적하는 생산성을 내려면, 사람이 앱에 자기 몸을 맞추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니까, 그 앱이 요구하는 대로 나를 바꿔야지, 내가 쓰던 습관대로 해서는 원하는/그리고 그들이 의도한 생산성을 낼 수가 없다고 믿는다. 그래서, 내가 텀베이스를 만들 때 제일 애타게 찾은 게 이거였는데, 전진 배치가 되어 있지 않아서 좀 찾기 힘들었음! 매뉴얼을 초반부터 차근차근 보는 유형...

번역 캣툴의 진입장벽이란...

순전히 ms워드에서만 작업하다가 트라도스를 잠깐 써보고, 이제 메모Q 클라우드에서 작업하는 건이 들어와서 memoQ로 한번 옮겨볼까 하고 있다. 트라도스는 다른 일과 겹쳐서 트라이얼 기간에만 쓰는 것으로는 도저히 판단이 안 되어서 크랙버전을 깔아봤는데...요즘 새로운 캣툴을 선택하려니까 이미 내 몸이 이것에 익숙해져 있어서 심하게 거부 반응을 일으키고 있다. 이럴 줄이야...그때 혼자 독학하느라고 치를 떨었는데 이제는 그 정도 집중력을 발휘하는 것도 쉬운 일이 아니다. 사실 주로 하던 작업은 업로드하는 시스템이 정해져 있어서 한 번에 한 건을 긁어서 올릴 수 있게 워드에서 작업을 했고, (실은 기계 번역이나 번역메모리가 영 통용이 안 되는 일이라서 비싼 캣툴을 사서 효용을 누릴 수 없었기에 그럴 수밖에 없었다. 이제는 "나이가 먹어서" 도저히 머리가 안 돌아가니, 뭐든 다 저장을 해둬야겠다는 긴박함에 쫓기고 있다.) 스튜디오를 쓰는 일은 혼자 자료가 생겼을 때나 일 끝내고 메모리 쌓으려고 일부러 만들어서나 써봤고, 제일 많이 쓴 것은 termbase용이었다. 텀을 만들어 놓고 그냥 위젯에서 가끔 검색하는 용도이다. (정말 실질적으로 트라도스를 제대로 썼다고는 할 수 없겠다.) 그러니 파일 베이스로 멀티텀에서 약 십오만 개 정도 전문용어를 구조 잡아서 저장해 놨는데...음, 이게 요즘 안 열린다. 몇몇 버전에서 있었던 오류라고는 하는데, 몇 가지 방법을 시도해 봤는데 잘 안 된다. 남은 방법을 보니 내가 이걸 쉽게 수정할 수도 없고 하다가 크랙이 깨지면 말짱 꽝이니... 크랙 버전이니 업데이트를 할 수도 없고, 괜히 수많은 자료를 한 뭉치로 묶어 놓은 게 헛수고가 되었다. 이 참에 하나 살까 고민을 했는데, 스튜디오는 써보니 smartcat보다 나을 게 없고 (기능에 대한 총평이 아니라 내가 쓰는 용도 내에서), 제일 아쉬운 게 기존에 만들어 둔 텀베이스를 열어서 엑스포트할 수 없다는 것인데, 그것도 로데이터를 다 가지고 있으니 약간...

법조동사 Modals - 법조동사의 완료형

법조동사 완료형으로 과거시제를 표현한다. '~해야 한다'의 과거형인 '~했어야 했다'는 하지 못한 일의 후회이다. 그러면 should는 이미 과거형인데 어떻게 '~했어야 했다' 의미를 나타낼 수 있을까? -> should 뒤에 오는 동사를 완료형으로 쓰면 된다. 법조동사 뒤에는 반드시 동사원형을 써야 하므로 should 뒤에 과거 시제 동사를 쓸 수 없다. 그래서 완료형인 have pp를 쓴다. (have는 동사원형으로 쓰므로 법조동사 뒤에 동사원형을 쓴다는 원칙에 어긋나지도 않는다.) ==> should + have +p.p. : ~ 했어야 했다. 그렇다.... 어디서 많이 본 가정법 형태이다. I should have studied for the final exam. 하지만, 실은 이런 걸 법조동사 완료형이라고도 한다. 자, 이유를 다시 생각하자. 법조동사만으로는 과거 시제를 표현할 수 없기 때문에 이렇게 완료형을 쓰는 것이다. 참고로, could have pp, would have pp는 가정법에 쓰이는 시제이다. 추측할 때 쓰이는 must, may, might ---> must have pp, may have pp, might have pp : 모두 법조동사의 완료형이다. 과거의 추측을 나타내는 것이다. 강한 추측: "~했음에 틀림없다." 약한 추측: "~했을지도 모른다." 이전에 그녀를 만났음에 틀림없다. I must have met her before. I may have met her before. I might have met her before. 이전에 그녀를 만났을지도 모른다. ps. 이 블로그에 쓰는 영어문법 글은 넥서스의 아무도 가르쳐 주지 않는 영문법, 옥스포드  practical English usage, 옛날에 수업 들으면서 작성한 내 소유의 노트, grammar in use 시리즈, 등등등...

법조동사 Modals - 확률과 추측, 요청, 조언

1. 확률과 추측 2. 요청 3. 조언 확률 will --- should --- may ----might/could 추측 must ---should --- may --- might/could certain/certainly --- probable/likely --- quite possible/perhaps --- possible/possibly 확률 내일은 눈이 올 것이다. It will snow tomorrow. 추측 (문을 두드린 건) 제이든임에 틀림없다. That must be Jaden (at the door). * can이 확률이나 추측을 표현할 때는 사용되지 않지만 확률과 추측을 부정할 때는 가장 강한 부정으로 사용된다. 내일은 비가 올 리가 없다. It can't rain tomorrow. 문을 두드린 건 제이든일 리가 없다. That can't be Jaden at the door. --------------- 1. 확률과 추측 2. 요청 3. 조언 * 요청할 때는 과거형을 쓸 수 있지만 (정중한 표현) 대답할 때는 항상 현재형을 쓴다. 과거형으로 불확실하게 대답하는 것은 공손한 표현이라고 볼 수 없기 때문이다. 요청: will, can, may  + would, could, might (더 예의바른 표현) May I come in? Might I come in? ---> Yes, You may. / No, you may not. Would you carry this for me?-----> Yes, I will. / No, I won't. Could you give me a hand with this bag? ---> Yes, I can. / No, I can't. Might I~?는 미국 영어에서 잘 안 쓴다. Can I~? 라고 물어볼 때보다 더 공손한 May I~?가 있기 때문이다. 축약형을 주...

법조동사 Modals

법조동사가 do, be, have를 포함한 다른 동사들과 다른 점은 첫째, 주어가 3인칭 단수일 때도 -s를 붙이지 않는다는 것, 둘째, 뒤에 항상 동사원형이 사용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법조동사에는 각각 현재형과 과거형이 있는데 must만 과거형이 없어서 have to의 과거형인 had to를 대신 사용한다. 그리고 모든 법조동사는 have to와 같이 비슷한 뜻을 가진 구 법조동사로 표현될 수도 있다. will (현재형) -------- would (과거형) ------be going to (구 법조동사) ---기본적인 의미: 미래 / ~할 것이다. can -------------- could --------------be able to ----------가능/~할 수 있다 may ----------------- might -------------- be allowed to ------------ 허가/~해도 된다 shall ---------------- should ------------- be supposed to ---------- 충고/~해야 한다 must ------------------  . ------------ have to --------------의무/~하지 않으면 안 된다 법조동사의 과거형은 간접화법에서 현재형이 과거형으로 바뀔 때 쓰인다. I will call you. ---------------- He said he would call me. May I come in? --------------- He asked if he might come in. Shall we go? ---------------- He asked if we should go. 우리 갈까? --------- 그는 우리가 가야 할지 물었다. 과거형은 사실 별도의 뜻을 가지고 현재 시제로 더 자주 사용된다. 그래서 현재형과 과거형 각각의 쓰임을 익혀야 한다. Would you like some coffee? Could...

동사의 종류 Verb types

다음 4가지 동사를 구분해야 한다. 조동사, 연결동사, 자동사, 타동사 조동사: do/be/have/법조동사(modals)             vs. 본동사                        -------------연결동사 vs. 비연결동사 연결동사에는 be가 있다. 비연결동사에는 ------------자동사, 타동사가 있다. 자동사는 talk 같은 것. 타동사는 목저어를 가지는 like 같은 동사, 목적어 외에 간접목적어를 가지는 give 같은 동사와 목적격보어를 가지는 make 같은 동사가 있다. ------------------------ 조동사 do, be, have, 법조동사 modals로 나뉜다. do - 부정, 의문, 강조를 할 때 사용. be - 수동태와 진행형에 사용. have - 완료형에 사용. 법조동사 -> can, will, may 등 I didn't like it. Did you like it? I did like it. = I liked it. This was given to me. I am watching TV. Where you studying? Have you seen Iron Man 3 ? I hadn't thought of that. I can do it! I won't go home. You may come in.  네 가지의 공통 특성은 negation 부정, inversion 의문문의 도치, code 생략의 암호 emphasis 강조. 부정문을 만들 때는 조동사에 not을 붙인다.: do not, is not, have not, cannnot..... 의문문을 만들 때는 조동사를 도치시킨다. : Do you..? Is he? Have you..? Can you? 문장을...

구두점

Punctuation marks 쉼표 (원래 이름은 반점, 영어로 콤마)  두 독립절을 연결하는 등위접속사 앞에는 쉼표를 사용해야 한다. 등위 접속사 다음에 나오는 것이 단어나 구가 아니라 독립절이라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서.  I like apples, and my brother likes oranges.  두 단어를 연결할 때는 쉼표를 사용하지 않는다.  apples and oranges.  세 개 이상을 연결할 때는 쉼표를 사용하는데 마지막 쉼표를 써도 되고 안 써도 된다 (쓰는 게 옥스포드 콤마)  apples, oranges(,) bananas.  종속접속사 because는 부사절을 이끈다. 부사절을 앞으로 옮길 수 있고 그럴 때는 부사절과 독립절 사이에 쉼표를 사용한다.  Because S1+V1, S+V.  S+V because S1+V1.  because가 등위 접속사 for의 역할을 할 수 있는데 이 절은 문장 앞에 사용될 수 없다.  My friend was probably fired, because I don't see him anywhere. "~니까"식으로 독해.  내 친구는 아마 해고된 것 같다. 어디에서도 안 보이니까.  어디에도 안 보이는 걸 보니까 내 친구는 아마 해고된 것 같다.  ---------------------------------------- 세미콜론 ;  I never likes any grammar books, but I like this one.  I never like any grammar books; however, I like this one.  I never like any grammar books; I like this one, howe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