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 절, 문장
Phrase, Clause, Sentence 단어가 모여서 구, 구가 모여서 절, 절이 모여서 문장. 단어<구<절<문장 그렇다고 해서 반드시 단어 수가 문장으로 갈수록 많아지는 것은 아니다. 한 단어로 이뤄진 명령문도 있으니까. --------------- 구의 종류 형태에 따라 나누면, 명사구, 동사구, 전치사구. (항상 각각이 명사, 동사, 전치사를 포함한다.) 역할에 따라 나누면, 형용사구, 부사구. (형태는 전치사구인데 역할이 형용사라서 형용사구, 역할이 부사구라서 부사구, 이런 식이다.) It's always cold in my office . 부사구 역할을 하는 전치사구 He went to Spain last week . 부사구 역할을 하는 명사구 전치사구, 명사구의 뜻을 알면 될 뿐, 무엇ㅇ르 꾸며주는지를 구분해서 형용사구, 부사구로 나누는 것을 굳이 공부할 필요는 없다. ---------------- 절의 종류 절은 항상 S+V를 가진다. Independent 독립절: 완전한 생각 Dependent 비독립절 (종속절): 완전한 생각 X --> 부사절, 명사절, 형용사절 I was exhausted when I got home . 부사절 I don't know whether that's true or not . know의 목적어인 명사절 I don't like the movie that I saw last week . (원래는 saw의 목적어인) 명사 the movie를 수식하는 형용사절 형용사절을 관계사절로 부르는 이유는 형용사절을 만들기 위해서 항상 관계대명사나 관계부사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즉, 관계사절은 형태에 따라 분류한 명칭이다. 부사절과 명사절은 종속접속사를 사용하여 만든다. 부사절 종속 접속사: after, before, when, while, until, because, since, as, althoug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