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영어단어인 게시물 표시

as가 전치사로서 although의 뜻인 문형

(as) 명/형/부 as (조동사) V, S+V.... 사전에서 as를 검색해 보자. 나온다. http://dic.daum.net/word/view.do?wordid=ekw000009662#none (양보) (문어) (명사, 형용사, 부사 뒤에서) …하지만[이지만](though, although); (동사 뒤에서) (보통 may, will, would 등과 함께) 아무리 …해도 Child as he was, he was brave.   그는 어린애였으나 용감했다 (※as 앞의 명사는 관사 없음 => A child (x) <- Although he was a child) (미)에서는 as ‥ as의 형을 취하는 경우도 있음 As tired as she was, sleep did not come to the frightened girl. 그 겁에 질린 소녀는 피곤했지만 잠을 이룰 수가 없었다. be 동사가 없으면 의미가 반대로 되는 것에 주의 (*이 부분을 이해 못하는 경우가 있어서 첨언하자면... be 동사라는 게 저기 she was의 was를 말한다. was가 없으면 as tired as ....이렇게 된다. although 양보의 뜻이 아니라 흔히 보던 [as 형 as] 문형이 되는 걸 말한다.) Busy as any working mother was, she found time to attend every PTA meeting. 일을 하는 다른 엄마들처럼 바빴지만 그녀는 매번 PTA 모임에 참석했다 https://en.oxforddictionaries.com/definition/as 4 Even though. ‘sweet as he is, he doesn't pay his bills’ ‘try as he might, he failed to pull it off’ More example sentences ‘But, good as he is, he was ...

영어 독해와 어휘 연습 (기사)

https://www.huffingtonpost.com/2015/04/14/gravity-payments-raise_n_7061676.html BUSINESS 04/14/2015 11:05 am ET Updated Apr 15, 2015 Alexander C. Kaufman Reporter, HuffPost CEO Slashes $1 Million Salary To Give Lowest-Paid Workers A Raise Three weeks ago, Dan Price took a $930,000 pay cut. Growing income inequality had been on his mind for months. But as he went for a hike with a friend one afternoon and listened to her describe her struggle with rising rent prices, he realized he had to do something for his own employees. [listen to A doing[do]] [A(사람)가 …하는 것을] 듣다 cf. HEAR So Price, the founder and CEO of Gravity Payments in Seattle, decided to raise the minimum salary at his 120-person payment processing company to $70,000. At a company where the average pay was $48,000 per year, the move — which was first reported by The New York Times on Monday — affected 70 workers, 30 of whom saw their salaries double. Most of the money for these raises will come from ...

선단, 전단, 후단

명확한 답이 없습니다. 원래 선단이란 tip end일텐데 때에 따라서 외국어->한글로 번역할 때 front end를 선단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래서 눈치껏 선단, 전단, 후단이 모두 나올 때는 선단이 tip end인 것이고, 선단과 후단만 대비되어 한 내용에서 나올 때는 선단을 front end라고 해야겠네요.  선단측에서 후단측으로 연장된 몸통부  a trunk portion extended from a front end side toward a rear end side 상기 몸통부의 측벽에 상기 선단측에서 상기 후단측으로 나선 형상으로 연장된 나사산 a thread ridge helically extended from the front end side toward the rear end side on a side wall of the trunk portion 상기 몸통부의 후단측에 배치되는 개스킷  a gasket disposed rearward of the trunk portion 가장 후단측의 나사산 The rearmost thread ridge 위와는 다른 명세서에는 이렇게 나옵니다.  선단부 tip end portion  선단편 tip end piece 전단부 front end portion  전단 개구 front end opening  후단부 back end portion  *솔직히, "-부"라는 명칭 만드는 게 전문용어 찾아서 쓰는 것보다 더 어려워요.  수많은 "-부"에 비하여 선단, 전단, 후단 이런 것들은 사실 아무 것도 아니거든요. 

어휘: 특이한 형태의 동사구 to up sticks

to up sticks up sticks (and go, etc.) (BrE, informal) : leave your home in order to move to another one 살던 집에서 갑자기 이사를 나가다라는 뜻이다. 영국식 영어. 비격식. Things weren't working out for them here, so they upped sticks and went to Chicago. : 동사로 up sticks If the Government thinks that everybody will up sticks and go to St. : will 과 같은 조동사 바로 뒤에서 동사로 up sticks to + R 의 형태: want, choose 등 본동사 뒤에서 to 부정사 형태, 즉 up sticks 통째로 동사이다. ...choose to up sticks ...want to up sticks and go to + 새로운 이사 장소

much, many, a lot (of), plenty (of)

much, many, a lot (of), plenty (of) * 일단 다들 아는 대로 '많은'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고 아래와 같이 나눠 써야 한다. 불가산의 경우: much/little time, luck, energy, money 가산의 경우: many/few friends, people, carts, countries * 위 둘(much, many)을 가산, 불가산의 경우 모두에 대체할 수 있는 흔히 보는 단어가 아래의 것이다. a lot of, lots of, plenty of + 불가산 명사 혹은 복수형 가산 명사 * plenty = more than enough '충분한 것보다 더 많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There's no need to hurry. We've got plenty of time. I've had plenty to eat. I don't want any more. ----------------- *사용에서 주의할 점 1) 부정형의 문장에서 much, many를 특히 많이 쓴다. a lot (of)도 물론 부정형 문장에 쓸 수 있다. We didn't spend much money. = We didn't spend a lot of money. 2) 긍정형의 문장에서는 a lot (of)를 쓰는 게 보통이다. 특히 much는 회화에서 긍정형의 문장으로 말할 때는 거의 쓰지 않는다. We spent a lot of money. (하지만 회화에서 We spent much money.라고는 하지 않는다.) 3) 긍정형의 many를 쓸 수 있지만, 회화에서는 a lot (of)를 쓰는 게 더 일반적이다. A lot of people drive too fast. = Many people drive too fast. 4) too much, too many의 경우 긍정형의 문장에서 쓴다. '지나치게(=너무) 많은...

used to, be used to, get used to

used to 조동사 과거에는 정기적으로 일어났거나 사실이었지만 지금은 그렇지 않은 일에 대해 쓴다 used as an auxiliary to express habitual or accustomed actions, states, etc, taking place in the past but not continuing into the present 부정형 didn't use to used not to used not to를 흔히 볼 수 있지만 didn't use to가 틀린 것은 아니다. 영국에서나 격식 차려서 쓸 때 didn't use to 쓴다. usedn’t to는 used not to의 축약형이다. 조동사라는 데 주의하자. 당연 이 뒤에는 바로 동사가 온다. "…하곤 했다; 과거 한때는[예전에는] …이었다[했다]"라고 해석된다. ----------------------------------------------------------------------- 아래 두 개는 used to가 "형용사+전치사"로 쓰이는 것이다. 즉, 이 글의 제목처럼 3개로 구분해서 외우는 것도 나쁘지 않지만, 그냥 used라는 형용사의 뜻을 알고 있으면 둘 다 자연스럽게 기억하게 된다. to가 전치사이므로 당연히 뒤에 명사(동명사)가 온다. 앞에 상태를 말하는 be동사를 쓰거나, 상태 변화를 말하는 get을 쓴 것이 다를 뿐이다. 아래는 영영 사전의 설명이다. made familiar with; accustomed to used to와 똑같은 형태다. 즉 얘네들 뒤에도 something이 온다. be used to …에 익숙하다. 이미 익숙해서 더 이상 새롭거나 이상하게 여겨지지 않는 일에 대해 쓴다. get[become] used to …에 익숙해지다 익숙해지는 상태 변화를 말할 때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