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KPA번역인 게시물 표시

‘사건의 나열 2’의 축소 버전

이미지
이 글은 원래 쓰던 상세 버전이 있는데 , 누구도 별 관심 없을 내용이라서 제쳐두고 간단 버전으로 정리하자면 이러하다 . 1. 프로젝트 중간에 업체가 CAT tool 을 도입했다 . 2. 업체가 캣툴 인풋 파일의 segment 나누는 방식을 바꾸고 소스와 타겟에 번역 내용을 뭘 넣을지를 예고 없이 변경했다 . 3. 업체가 다시 한번 segment 형태를 바꾸고 어느 행 (seg. no.) 에 뭘 번역해서 넣을지를 바꾸었다 . 4. 업체가 오류가 많고 휴가 간 직원들이 많아서라며 내부직원이 하던 네이티브 검수 후의 내용 비교 및 검토 작업과 최종 버전을 캣툴에 업로드하는 작업 , 작업완료 보고서 제출을 번역자에게 시켰다 .   새 캣툴 도입 전 온라인 교육과 테스트 파일 작성 제출을 주말주일에 해서 제출하라고 했다 . 그 외에 이 모든 일이 예고나 번역작업자의 일정 확인이나 조율 없이 , 일방적 통지로 이루어졌다 .   사이사이에 , 오후까지 완료해야 하는데 왜 캣툴에 아직 0% 냐 , 스펠 체크한 파일을 따로 제출하라는 등 , 별별 일이 있었으나 생략 . 요점은 이것이다 .   내가 ... 너네 직원이냐 ? 너네가 내 사대보험 반띵 내어주고 있냐고 . 미리 업무 내용과 건당 금액이 정해진 상태에서 일하는 중인 프리랜서 번역자가 , 대체 어디까지 업체님을 위한 시간을 빼어놓고 대기를 타면서 이랬다 저랬다하는 실험에 굴려져야 하냐고 . 얼마나 더 예정에 없던 시간적 비용을 일방적으로 감수해야 하는 거냐고 .   4. 이후 마지막에 계속 적용하기로 했다는 그 규칙에 따르면 , 네이티브가 검수한 파일을 받으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