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건의 나열의 프리퀄 같은 것이면서 마침표인 것

Bees flying by Bing & Me 진지하게 이제 번역을 일로서 하는 것은 관두어야겠다고 생각한다 . 기술발전으로 기계가 사람을 대체할 날이 머지 않은 일인 것은 사실이지만 , 그것 때문이 아니라 근래 업체가 일을 밀어부치며 번역자들 대하는 방식과 태도에 아주 진절머리가 났기 때문이다 . 그 덕에 기술문서 번역에 대한 내 호감도 바닥을 쳤다 . 미친년 머리 풀고 곡하는 식의 사랑은 그만둘 때가 됐다 . 나는 이전에 프로젝트성으로 잠깐 일했던 회사의 임원이 얘기했듯이 ‘ 반성형 ’ 이고 또 내 스스로도 되게 ‘ 뒤로 보는 ’ 인간형이라고 인정하는데 , 현재까지는 KPA 번역에서 손을 털게 된 일련의 과정을 몇 번을 복기해도 내 결정과 행동에 대한 반성이나 후회도 없고 , 분노가 합당했다는 결론밖에 나지 않았다 . 유투브에 찾아 보면 ( 아마도 C 사인 것 같은데 ) 기업 인하우스 번역자가 인터뷰를 하면서 , 수시로 번역은 하지 말라는 말을 반복하던데 , 나도 똑같다 . 번역일을 먹고 사는 일로서 하려는 사람이 있다면 누구든지 말리고 싶다 . 특히나 KPA( 한국특허영문초록 ) 번역을 쭉 하면 안정적이고 내게 이득이겠다 생각하는 사람 있으면 말리고 싶다 . 기술적인 글을 제대로 정확하게 번역해야지 , 라고 생각하고 있다면 더더욱 하지 말라고 하고 싶다 . 그 분야는 일을 처리하는 업체의 인력뿐만 아니라 최종 검수 단계까지 누가 뭘 어떻게 해도 고칠 수 없는 참조번역으로서의 원초적인 제약이 있다 . 더 사람을 골치 아프게 만드는 것은 번역자에게 요구하는 것이 비일관적이라는 것이다 . ( 구체적인 예를 수 없이 들 수 있지만 생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