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영어공부인 게시물 표시

'타인의 고통' 번역오류는 책의 초반부터 있었다

이미지
이글 ( https://wordylovely.blogspot.com/2024/01/blog-post_28.html ) 에서 썼듯이 눈에 두드러지는 ' 뭥미 ?' 스러운 단어 때문에 원서를 처음부터 보기 시작했는데 , 번역서를 보면서 ' 잘 안 읽히는 한글 문장 구사 때문이겠지' 하고 넘어갔던 초반부터 번역오류가 있었다 . 번역서의 본문 시작이 19 쪽인데 , 무려 21 쪽에서이다 . p21 p22 It may be hard to credit the desperate resolve produced by the aftershock of the First World War, when the realization of the ruin Europe had brought on itself took hold. 1 차 세계대전의 여진이 만들어낸 절박한 결의를 믿기 어려울 수도 있다 . 유럽이 스스로 초래한 파멸 ( 에 대한 깨달음 ) 이라는 깨달음이   확고해졌을 때는 말이다 . realization 을 깨달음이라고 해야 할지 현실화라고 해야 할지 좀 고민이 되더라 . 이 문장은 무척 단순한데 , 왜  그림에서  저 노란색으로 표시해둔 부분처럼 장황하게 번역했는지 알 수가 없다 . " 인류 스스로 확립해 놓은 결의를 " 이라는 부분은 어디서 튀어나왔을까 ? 고민을 해봤지만 다른 사람의 논리를 이해하기는 어렵기만 하다 . itself 를 어딘가 끼워넣으려고 고민하다가 의미 확장한 것일까 ? 한국어의 ' 폐허 ' 라는 단어는 황폐화된 터 , 즉 물리적인 모습을 말한다 . 그러니 원문에서 ruins 라고 나왔을 때 그렇게 해석하는 게 적절할 것이다 . 뭐 , 이거야   앞뒤 어울림을 생각해서 한국어 단어 선택하는 문제에 ...

이상하게들 쓰고 있는 thereby [이 아이는 접속사가 아니라 부사다!]

이미지
The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making a recommendation code registration for each sales product by assigning the sales product sold to an arbitrary member to an identification code; registering by one-to-one matching one identification code with a recommendation code of a different identification code, and then enabling a number of registration, wherein the number of the identification code entered for each group is limited; differentiating profits for each group by forming a number of the group with a predetermined number, wherein the group is configured to be sequentially leveled with a group form a low to high profits; and moving a level of the group sequentially when the most significant identification code of an initial group is only registered as a recommendation code of a different identification code, thereby a loss does not occur as a company distributes profits based on an amount of sales after selling products, concentrating in profits on a portion of member is prohibit...

'타인의 고통'을 원문 비교를 해야겠다고 생각하게 했던 첫 오류 둘

1. 번역서에 뜬금없는 발에 족쇄를 찬이라는 표현이 있다.  프랑코 장군은 1920년대 당시 모로코에서 사령관으로 재직하며 완벽하게 숙달한 폭격, 대량 학살, 고문, 암살, 그리고 죄수를 불구로 만드는 것처럼 야만적이기 매한가지인 전술을 사용했다. 모로코 다음으로는 스페인 식민지의 주민들, 발에 족쇄를 찬 검은 피부의 주민들과 이교도들이 그의 희생자가 됐다. 당시 스페인의 지배자들은 이 일을 훨씬 흡족해 했다. 그리고 드디어, 그의 동포들이 희생자가 되어버렸다.   General Franco was using the same tactics of bombardment, massacre, torture, and the killing and mutilation of prisoners that he had perfected as a commanding officer in Morocco in the 1920s. Then, more acceptably to ruling powers, his victims had been Spain's colonial subjects, darker-hued and infidels to boot ; now his victims were compatriots." Then을 모로코 다음으로 라고 했는데 사실 이 부분은 잘 모르겠다. 내가 읽기에는 굳이 다른 경우를 더 말한 게 아니라 모로코 시절을 얘기한 것으로 보이는데, 프랑코의 그 다음 경력을 몰라서 저렇게 시간 순으로 말한 것이 틀린 것인지는 확실치 않다. to boot는 족쇄 와는 아무 상관이 없는 표현으로, '또한, 게다가'의 뜻이다. 솔직히 내 생각에는 문장을 분리해서 설명한다면 저걸 딱히 안 해석하는 게 더 나을 거 같은데... 내용은 스페인 내전 사진에 대한 언급 이후에 나오는데, 대략 이런 내용이다. (+앞에 barbaric이 나왔기 때문에 the same tatics를 야만적이기 매한가지인 전술로 번역하고 있다.)  프랑코 장군은 192...

번역 오류를 발견하면...

이미지
보통 출판사에 연락하나?  스티브잡스 책처럼 오만 블로그들이 오류를 지적하는 경우도 있을 거 같은데..어지간해서는 그런 일이 생길 거 같지는 않고. 그래도 가끔 수정판이 나오는 경우가 있는 건 오류를 누군가는 찾고 있다는 건데, 지금 읽는 이 책은 단독 번역인데다 많이 읽힐 거 같지도 않아서 과연 처음에 오류를 잡지 않은 출판사에서 차후에 수정판을 낼까 의문이다.  참고서류에서 명백한 서술 오류는 출판사 홈페이지에 바로 문의 남기고 답변을 받은 적이 있는데, 이 건은 아직 다 읽지도 못했고, 언제 다 읽을지도 요원해서 어떻게 할지 계획이 없다.  일단 명백한 문법 해석의 오류에 대해서는 까먹지 않기 위해서 시간 나는 대로 기록을 해둘 생각이다. 

구, 절, 문장

Phrase, Clause, Sentence 단어가 모여서 구, 구가 모여서 절, 절이 모여서 문장. 단어<구<절<문장 그렇다고 해서 반드시 단어 수가 문장으로 갈수록 많아지는 것은 아니다. 한 단어로 이뤄진 명령문도 있으니까. --------------- 구의 종류 형태에 따라 나누면, 명사구, 동사구, 전치사구. (항상 각각이 명사, 동사, 전치사를 포함한다.) 역할에 따라 나누면, 형용사구, 부사구. (형태는 전치사구인데 역할이 형용사라서 형용사구, 역할이 부사구라서 부사구, 이런 식이다.) It's always cold in my office . 부사구 역할을 하는 전치사구 He went to Spain last week . 부사구 역할을 하는 명사구 전치사구, 명사구의 뜻을 알면 될 뿐, 무엇ㅇ르 꾸며주는지를 구분해서 형용사구, 부사구로 나누는 것을 굳이 공부할 필요는 없다. ---------------- 절의 종류 절은 항상 S+V를 가진다. Independent 독립절: 완전한 생각 Dependent 비독립절 (종속절): 완전한 생각 X --> 부사절, 명사절, 형용사절 I was exhausted when I got home .  부사절 I don't know whether that's true or not . know의 목적어인 명사절 I don't like the movie that I saw last week . (원래는 saw의 목적어인) 명사 the movie를 수식하는 형용사절 형용사절을 관계사절로 부르는 이유는 형용사절을 만들기 위해서 항상 관계대명사나 관계부사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즉, 관계사절은 형태에 따라 분류한 명칭이다. 부사절과 명사절은 종속접속사를 사용하여 만든다. 부사절 종속 접속사: after, before, when, while, until, because, since, as, although...

영어의 품사와 문장 요소

Parts of speech, Parts of a sentence 보통 영어를 8품사로 나누는데 이럴 때 형용사에 관사를 포함시킨다. 관사가 명사나 대명사를 수식하는 말이니까 형용사와 같은 것이라는 설명이 붙는다. 관사가 명사 앞에 쓰이기는 하지만 형용사와는 많이 다르다. I am happy처럼 형용사는 문장의 술어로 끝에 쓰일 수 있지만 관사는 못 쓰지 않는가. 현대 언어학 바탕의 영문법에서는 관사를 '한정사'로 따로 말한다. 먼저, 품사는 의미어, 기능어로 나눌 수 있다. --- 위쪽이 의미어, 감탄사 아래의 --- 아래쪽이 기능어이다. 한국어 9품사 동 명 형용 부 ---- 감탄 --- 대명 조 수 관형 영어 9품사 동 verb 명 noun 형용 adjective 부 adverb --- 감탄 interjection --- 대명 pronoun 전치 preposition 접속 conjunction 한정 determiner 참고) exclamation 감탄사 발음할 때: 의미어를 강하게 발음하고, 기능어를 약하게 발음한다. 책이나 영화 등의 제목을 쓸 때: 의미어는 대문자로 시작하고 기능어는 소문자로 시작한다. (단, 기능어인 정관사 The가 맨 앞에 올 때 대문자로 시작하는 경우를 흔히 볼 수 있다. 제목의 처음과 끝 단어는 무조건 대문자로 시작하기 때문이다.) 참고) 제목은 이탤릭체로 쓰고, 노래, 시, 단편 소설, 책의 장과 같이 상대적으로 작은 작품의 제목은 따옴표를 사용한다. "We Wish You a Merry Christmas" (제목에서는 의미어뿐 아니라 대명사도 대문자로 한다.) "The Dark Lord Ascending" in Harry Potter and the Deathly Hallows 의미어는 새로운 단어가 계속 추가되지만 기능어는 새로운 단어가 추가될 수 없다. eg) smartphone, tel...

현재 진행형과 단순 현재형 Present continuous and present simple 2

좀더 복잡한 내용 ( 고급 ): NON-ACTION VERBS 내용 추가 상황 ( 상태 ) 가 일시적이거나 현재 시점에 가까운 일정 시간 동안이라는 것을 강조하고 싶을 때 현재 진행형을 상태 동사들과 함께 쓸 수 있다 . (with some state verbs; e.g. attract, like, look, love, sound) Jean stays with us quite often. The children love having her here.  Jean's with us at the moment. The children are loving having her here.  더 상세하게 상태 동사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agree , appreciate, attract,  desire ,  doubt , expect, hate, hope, like, love,  prefer ,  regret  (to do with emotions, attitudes, and preferences);  anticipate, assume,  believe , consider, expect, feel, find, imagine,  know , realize, think, understand (mental states);  ache, hear,  notice , see,  smell , sound,  taste  (sense and perception);  belong to ,  consist of ,  constitute ,  contain , cost,  differ from , have, look,  mean , measure,  own ,  possess ,  resembl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