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하게들 쓰고 있는 thereby [이 아이는 접속사가 아니라 부사다!]
The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making a recommendation code registration for each sales product by assigning the sales product sold to an arbitrary member to an identification code; registering by one-to-one matching one identification code with a recommendation code of a different identification code, and then enabling a number of registration, wherein the number of the identification code entered for each group is limited; differentiating profits for each group by forming a number of the group with a predetermined number, wherein the group is configured to be sequentially leveled with a group form a low to high profits; and moving a level of the group sequentially when the most significant identification code of an initial group is only registered as a recommendation code of a different identification code, thereby a loss does not occur as a company distributes profits based on an amount of sales after selling products, concentrating in profits on a portion of member is prohibited as a seller gets profits based on products that they recommend or purchase, and plentiful profits are also distributed to a new member.
저걸 대체할 수 있는 제일 쉬운 접속사: so
The total system is designed as a single working unit, so all components work together to provide the needed environment for your IT systems. 출처:한샘EUG
전체 시스템이 단일 작동 장치로 설계되므로 모든 구성요소가 연동하여 IT 시스템에 필요한 환경을 제공합니다.
아래에서 써도 되는 것과 쓰면 안 되는 것을 보자.
S1+V1, so S2+V2 (O)
S1+V1, thereby S2+V2 (X)
S1+V1, thereby V2-ing (O)
(현재분사로 이 동사 V2의 보이지 않는 주어는 S1. 분사절을 쓸 때는 주어가 일치하면 주어를 생략 가능하니까. kpa 매뉴얼에 이것을 동명사라고 하고 있는데 말도 안 됨. 동명사라면 '명사'가 올 수 있는 자리에 쓰이지 서술어로 쓰이지 않지요.)
S1+V1, and thereby V2 (O)
(V1에 맞춘 동사 형태 => ing 아닌 경우. S1이 V1해서 그럼으로써 (S1이) V2한다.)
thus의 사용법도 똑같음.
이렇게 되는 이유는 thereby와 thus는 '부사'이지 접속사가 아니기 때문임.
so는 부사로도 쓰이고 접속사로도 쓰임. 그래서 위의 예문에서 처럼 and so 이렇게 쓰지 않고, 그러므로라는 뜻으로 so만으로 되는 것임. 그리고 뒤에 절이 새로운 주어로 시작하는 완전한 절이 되는 것임.
그래서 1020140133267 예문처럼 thereby를 두 주어가 서로 다른 독립된 각각의 절을 연결하는 접속사로 쓰면 틀린 것임.
in 2016
* 접속사로 뭐가 있는지 여전히 모르는 사람 있을까...??
For
And
Nor
But
Or
Yet
So
*특허번역 관련된 국내 출간된 책 중에 참 많은 사람들이 보는구나 싶은 게 있다.
나도 다른 사람에게 추천받아서 사서 봤다.
그 책에 쓰인 thereby를 용례를 보면... 특히나 의미상 주어가 생략되고 가주어 it을 쓰는 it is 절 뒤에 흔히 나오는데...흠.. 그런 문장에서도 thereby 뒤의 ing의 행위 주체가 의미상 주어와 일치해야할 텐데, 그 용례들에서 그렇지가 않다. 그냥 직역을 하면, 한국어로 풀어보면 말은 되지. 그러나 그 영어 문장을 외국인이 보면 뭐라고 할지 매우 궁금하다.
---------------
이 글이 의외로 검색 결과를 타고 많이 방문하는 글이고, 댓글도 달렸는데 거기에 대한 답변이 부족한 것 같아서 추가해 둡니다.
원글을 너무 간단하게 적은 것 같은데,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 알아야 하는 문법적인 용어는 ‘접속사’, ‘부사’입니다.
접속사는 문장(S와 V를 모두 갖춘 형태)과 문장을 연결하는용도로, 부사는 동사, 형용사, 부사, 문장 전체를 수식하는 용도로 쓰입니다.
그러므로, 접속사는, 두 문장이 있다면, 첫 번째 문장과 그 다음 문장 사이에 쓰이고, 부사는 보통 꾸미는 것의 앞에(그러니까 사실 문장 내에 아무 곳에나), 혹은 문장 맨 앞이나 맨 뒤에 쓰일 수 있습니다.
그럼, 댓글에서 든 예를 보겠습니다. 여기서 예시 문장을 ‘thus를 두 문장 사이에 쓸 수 있다’의 근거로 드셨습니다. 문장 구조를 한번 보겠습니다.
제가 답글에서 S1, V1을 두 번 썼지만, 실은 이런 식으로 되어 있습니다.
“.... 만들고(만든다. 그리고), 그래서(=그러므로) 우리 식량 공급이.....한다.”
주어(S)가 다른 두 문장이 and로 연결되어 있고, '그러므로'의 뜻으로 부사 thus를 두 번째 문장의 맨 앞에 배치하고 S2와 V2가 나오는 형식입니다.
여기서 and를 빼어버리면 문장은 틀린 문장이 됩니다. (Exercise made us more hungry thus our food supplies ran out.) 댓글에서는 이 문장이 사전에 나왔으니 맞는다고 생각하신 것입니다. 잘못 보신 것이죠.
thus만을 생략하고 "...hungry and our food...."와 같이 써도 문장에는 어떤 오류도 없습니다. thus는 thereby와 마찬가지로 앞뒤의 인과관계를 강조하는 부사일 뿐, 문장의 필수요소가 아닙니다.
thus와 thereby같은 부사는 반드시 복수 개의 문장 사이에서만 쓰이는 것이 아닙니다.
또한, 흔히 보이는 아래와 같은 '분사의 결과적 용법'에만 쓰이는 것도 아닙니다.
He signed the contract, thereby forfeiting his right to the property.
형태: S+V1, thereby(thus) V2ing(현재분사)
해석: S가 V1해서 그럼으로써 (S1이) V2한다. (S1: 주어가 같으므로 분사구문에서 생략)
위의 예문에서 thereby를 생략하든, thereby 대신에 thus나 accordingly를 쓰든, 아무런 차이점이 없습니다. thereby가 없어도 분사 자체의 해석으로 '그럼으로써 (S1이) V2한다'라고 해석해야 합니다. 그런데 읽는 사람에게 좀더 명확하게 앞뒤 인과관계가 있다는 뜻을 전달하기 위해서 thereby를 써준 것이죠.
thus든 thereby든 인과관계를 강조하고 싶은 구 사이에 쓰거나 형용사를 강조하기 위해 바로 그 앞에 쓰거나, 문장 중 어디에서든 '그러므로, 그리하여' 등의 뜻으로 쓰이는 부사 단어일 뿐입니다.
This detergent is highly concentrated and thus you will need to dilute it.
이 세제는 고농축이므로 당신은 그것을 희석해야 할 것입니다.
He and Kostin are believed to be in Moscow and thus unlikely to face U.S. justice.
그와 코스틴은 모스크바에 있는 것으로(to be) 추정되며 따라서 미국의 법무부와 대면할(to face) 가능성은 낮습니다. (and thus (they are) unlikely to face....)
이 예는 (they are)가 중복으로 생략된 것이지만, 때때로 "S+ V ~~~ to R ~~"의 문장에서 to 부정사가 결과적으로 해석될 때 ", thus to R"로 쓰이거나, to R이 여러 개 나열되고 마지막 to R이 결과적인 것일 때 "to R1, to R2, and thus to R3" 이렇게 쓰이는 경우도 볼 수 있습니다.
+) After what has seemingly felt like a balmy winter thus far, single-digit and below-zero temperatures are heading this way.
(이렇게 thus far를 같이 쓰면 '이제까지', '지금까지'로 해석해야 합니다.)
thereby 이 단어가 특별한가,라고 의문이 드는 것은 분사의 쓰임에 자주 보여서인 것 같습니다. 그러나 이 단어 자체가 특별한 것이 아닙니다. 분사 예문에서 보고 의문을 품은 분은 문법책의 '분사구문' 부분을 자세히 보는 것이 더 도움이 될 것입니다.
Cambridge dictionary 예문을 찾아보니 s1+V1, thus s1+V1, thus s2+v2도 있네요. Exercise made us more hungry and thus our food supplies ran out.
답글삭제옮겨오신 예문에서 and가 있으니까 앞뒤 두 문장이 연결될 수 있는 것입니다..
삭제만약 쓰신 것처럼 접속사and 없이 s1+V1, thus s1+V1 이렇게 쓰면 틀린 문장이 됩니다.
[, thus ...ing]를 쓸 때는 완벽한 문장이 아니라 그저 부사가 추가로 붙은 현재분사구가 됩니다. thus가 나오기 전에 이미 s+v가 있는 문장으로 완성이 되어 있지요. 결과의 부사구인 분사구문 thus -ing는 나오든 안 나오든 상관없이요.
(아..자기 블로그에서 수정 기능을 못 찾아서 삭제하고 다시 썼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