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조동사 Modals - 법조동사의 완료형

법조동사 완료형으로 과거시제를 표현한다. '~해야 한다'의 과거형인 '~했어야 했다'는 하지 못한 일의 후회이다. 그러면 should는 이미 과거형인데 어떻게 '~했어야 했다' 의미를 나타낼 수 있을까? -> should 뒤에 오는 동사를 완료형으로 쓰면 된다. 법조동사 뒤에는 반드시 동사원형을 써야 하므로 should 뒤에 과거 시제 동사를 쓸 수 없다. 그래서 완료형인 have pp를 쓴다. (have는 동사원형으로 쓰므로 법조동사 뒤에 동사원형을 쓴다는 원칙에 어긋나지도 않는다.) ==> should + have +p.p. : ~ 했어야 했다. 그렇다.... 어디서 많이 본 가정법 형태이다. I should have studied for the final exam. 하지만, 실은 이런 걸 법조동사 완료형이라고도 한다. 자, 이유를 다시 생각하자. 법조동사만으로는 과거 시제를 표현할 수 없기 때문에 이렇게 완료형을 쓰는 것이다. 참고로, could have pp, would have pp는 가정법에 쓰이는 시제이다. 추측할 때 쓰이는 must, may, might ---> must have pp, may have pp, might have pp : 모두 법조동사의 완료형이다. 과거의 추측을 나타내는 것이다. 강한 추측: "~했음에 틀림없다." 약한 추측: "~했을지도 모른다." 이전에 그녀를 만났음에 틀림없다. I must have met her before. I may have met her before. I might have met her before. 이전에 그녀를 만났을지도 모른다. ps. 이 블로그에 쓰는 영어문법 글은 넥서스의 아무도 가르쳐 주지 않는 영문법, 옥스포드  practical English usage, 옛날에 수업 들으면서 작성한 내 소유의 노트, grammar in use 시리즈, 등등등...

법조동사 Modals - 확률과 추측, 요청, 조언

1. 확률과 추측 2. 요청 3. 조언 확률 will --- should --- may ----might/could 추측 must ---should --- may --- might/could certain/certainly --- probable/likely --- quite possible/perhaps --- possible/possibly 확률 내일은 눈이 올 것이다. It will snow tomorrow. 추측 (문을 두드린 건) 제이든임에 틀림없다. That must be Jaden (at the door). * can이 확률이나 추측을 표현할 때는 사용되지 않지만 확률과 추측을 부정할 때는 가장 강한 부정으로 사용된다. 내일은 비가 올 리가 없다. It can't rain tomorrow. 문을 두드린 건 제이든일 리가 없다. That can't be Jaden at the door. --------------- 1. 확률과 추측 2. 요청 3. 조언 * 요청할 때는 과거형을 쓸 수 있지만 (정중한 표현) 대답할 때는 항상 현재형을 쓴다. 과거형으로 불확실하게 대답하는 것은 공손한 표현이라고 볼 수 없기 때문이다. 요청: will, can, may  + would, could, might (더 예의바른 표현) May I come in? Might I come in? ---> Yes, You may. / No, you may not. Would you carry this for me?-----> Yes, I will. / No, I won't. Could you give me a hand with this bag? ---> Yes, I can. / No, I can't. Might I~?는 미국 영어에서 잘 안 쓴다. Can I~? 라고 물어볼 때보다 더 공손한 May I~?가 있기 때문이다. 축약형을 주...

법조동사 Modals

법조동사가 do, be, have를 포함한 다른 동사들과 다른 점은 첫째, 주어가 3인칭 단수일 때도 -s를 붙이지 않는다는 것, 둘째, 뒤에 항상 동사원형이 사용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법조동사에는 각각 현재형과 과거형이 있는데 must만 과거형이 없어서 have to의 과거형인 had to를 대신 사용한다. 그리고 모든 법조동사는 have to와 같이 비슷한 뜻을 가진 구 법조동사로 표현될 수도 있다. will (현재형) -------- would (과거형) ------be going to (구 법조동사) ---기본적인 의미: 미래 / ~할 것이다. can -------------- could --------------be able to ----------가능/~할 수 있다 may ----------------- might -------------- be allowed to ------------ 허가/~해도 된다 shall ---------------- should ------------- be supposed to ---------- 충고/~해야 한다 must ------------------  . ------------ have to --------------의무/~하지 않으면 안 된다 법조동사의 과거형은 간접화법에서 현재형이 과거형으로 바뀔 때 쓰인다. I will call you. ---------------- He said he would call me. May I come in? --------------- He asked if he might come in. Shall we go? ---------------- He asked if we should go. 우리 갈까? --------- 그는 우리가 가야 할지 물었다. 과거형은 사실 별도의 뜻을 가지고 현재 시제로 더 자주 사용된다. 그래서 현재형과 과거형 각각의 쓰임을 익혀야 한다. Would you like some coffee? Could...

동사의 종류 Verb types

다음 4가지 동사를 구분해야 한다. 조동사, 연결동사, 자동사, 타동사 조동사: do/be/have/법조동사(modals)             vs. 본동사                        -------------연결동사 vs. 비연결동사 연결동사에는 be가 있다. 비연결동사에는 ------------자동사, 타동사가 있다. 자동사는 talk 같은 것. 타동사는 목저어를 가지는 like 같은 동사, 목적어 외에 간접목적어를 가지는 give 같은 동사와 목적격보어를 가지는 make 같은 동사가 있다. ------------------------ 조동사 do, be, have, 법조동사 modals로 나뉜다. do - 부정, 의문, 강조를 할 때 사용. be - 수동태와 진행형에 사용. have - 완료형에 사용. 법조동사 -> can, will, may 등 I didn't like it. Did you like it? I did like it. = I liked it. This was given to me. I am watching TV. Where you studying? Have you seen Iron Man 3 ? I hadn't thought of that. I can do it! I won't go home. You may come in.  네 가지의 공통 특성은 negation 부정, inversion 의문문의 도치, code 생략의 암호 emphasis 강조. 부정문을 만들 때는 조동사에 not을 붙인다.: do not, is not, have not, cannnot..... 의문문을 만들 때는 조동사를 도치시킨다. : Do you..? Is he? Have you..? Can you? 문장을...

구두점

Punctuation marks 쉼표 (원래 이름은 반점, 영어로 콤마)  두 독립절을 연결하는 등위접속사 앞에는 쉼표를 사용해야 한다. 등위 접속사 다음에 나오는 것이 단어나 구가 아니라 독립절이라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서.  I like apples, and my brother likes oranges.  두 단어를 연결할 때는 쉼표를 사용하지 않는다.  apples and oranges.  세 개 이상을 연결할 때는 쉼표를 사용하는데 마지막 쉼표를 써도 되고 안 써도 된다 (쓰는 게 옥스포드 콤마)  apples, oranges(,) bananas.  종속접속사 because는 부사절을 이끈다. 부사절을 앞으로 옮길 수 있고 그럴 때는 부사절과 독립절 사이에 쉼표를 사용한다.  Because S1+V1, S+V.  S+V because S1+V1.  because가 등위 접속사 for의 역할을 할 수 있는데 이 절은 문장 앞에 사용될 수 없다.  My friend was probably fired, because I don't see him anywhere. "~니까"식으로 독해.  내 친구는 아마 해고된 것 같다. 어디에서도 안 보이니까.  어디에도 안 보이는 걸 보니까 내 친구는 아마 해고된 것 같다.  ---------------------------------------- 세미콜론 ;  I never likes any grammar books, but I like this one.  I never like any grammar books; however, I like this one.  I never like any grammar books; I like this one, howev...

as가 전치사로서 although의 뜻인 문형

(as) 명/형/부 as (조동사) V, S+V.... 사전에서 as를 검색해 보자. 나온다. http://dic.daum.net/word/view.do?wordid=ekw000009662#none (양보) (문어) (명사, 형용사, 부사 뒤에서) …하지만[이지만](though, although); (동사 뒤에서) (보통 may, will, would 등과 함께) 아무리 …해도 Child as he was, he was brave.   그는 어린애였으나 용감했다 (※as 앞의 명사는 관사 없음 => A child (x) <- Although he was a child) (미)에서는 as ‥ as의 형을 취하는 경우도 있음 As tired as she was, sleep did not come to the frightened girl. 그 겁에 질린 소녀는 피곤했지만 잠을 이룰 수가 없었다. be 동사가 없으면 의미가 반대로 되는 것에 주의 (*이 부분을 이해 못하는 경우가 있어서 첨언하자면... be 동사라는 게 저기 she was의 was를 말한다. was가 없으면 as tired as ....이렇게 된다. although 양보의 뜻이 아니라 흔히 보던 [as 형 as] 문형이 되는 걸 말한다.) Busy as any working mother was, she found time to attend every PTA meeting. 일을 하는 다른 엄마들처럼 바빴지만 그녀는 매번 PTA 모임에 참석했다 https://en.oxforddictionaries.com/definition/as 4 Even though. ‘sweet as he is, he doesn't pay his bills’ ‘try as he might, he failed to pull it off’ More example sentences ‘But, good as he is, he was ...

그래머리 때문에 망함....날아갔다.

그래머리 스펠 체커가 자꾸 깜박거려서 눌렀다가 글 다 날렸다... 어드밴스드 오류가 있다고 돈 내야 확인할 수 있는 거였는데 눌러서 새 창을 띄우기 전에는....줄 그인 데도 없는데 어디 때문인지 궁금해서 눌렀는데 내가 써놓은 글은 안 뜨고 화면이 허연 상태가 지속되어서 그래머리 창을 닫았더니 대쉬 보드에서의 글도 날아가고 없었다. 이틀에 걸쳐 상세하게 구, 절, 문장을 썼건만.  아, 이틀 밤에 걸쳐 몇 시간을 쓴 거야...허망하다.  되돌릴 방법이 없나? 그래머리는 extensions에서 꺼버렸다... 사실 구글 크롬에도 기능이 있어서 만구 쓸모없었는데... 예전에 일하던 곳에서 자꾸 쓰라고 해서. 그러고 보니, 이렇게 해서 글이 날아간 게 처음이 아니다. 그때는 워드에서 복구라도 했건만. 블로거 대쉬보드에서는 불러올 방법이 없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