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 넘고 강 넘어 '전자도서관' 사용법을 이해했..한 것 같다.
전자책 좀 빌려보겠다고 교보문고 전자도서관 앱을 켰다가,
도대체 어디서 뭘 해야 하는 건지 몰라서 한참을 헤맸다.
아무래도 한 번은 정리해두는 게 좋을 것 같아서, 나중에 또 찾아볼 수 있게 써둔다.
분명 '소상공인지식배움터'로 이 앱을 이용한 적이 있고, 거주하는 시의 시립도서관에서 전자도서관 이용할 수 있다고 했는데, 그 시의 전자도서관이 목록에 없네?
시립 도서관의 계정 찾기부터 험난한 과정이 있었지만 줄이고,결론을 말하자면, 우리 지역 전자도서관을 쓰려면 광역지자체의 대표도서관을 찾아가시라. 요약 끝.
우리 시 도서관에는 전자도서관이 없다
조금 더 찾아보니까, 우리 시 도서관 자체에는 전자도서관이 없고, 전자책을 이용하려면 경남도청에서 운영하는 ‘경남통합전자도서관(구독)’으로 들어가야 하더라.
그러니까 도 단위 전자도서관을 통해야지만 전자책 이용이 가능한 구조인 셈이다.
이용안내를 보고도 결국 전화했다
시 도서관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전자도서관 이용안내를 찾아봤는데, 거기에는 이미지로 된 안내문만 있고, 바로가기 링크는 없었다.
(아아... 나는 이 지역으로 와서 이런 공지사항이나 안내문 정말 많이 봤다. 그림에 커다란 버튼이 있는데, 아무도 그림에 링크를 걸 생각도, 그림 바깥에 주소라도 따로 적어둘 생각을 하지 않는 것이다. 일단 이미지에 링크 거는 방법을 모르는 것 같고, 그 외 이 일이 반복 발생하는 이유는 모르겠다. 와이~? ㅠ)
결국 도서관에 전화해서 물어봤고, 사서 샘이 알려준 바로는 ‘자료검색’ 메뉴 안에 ‘전자도서관’이라는 항목이 있다고 했다. (전자도서관 레이블 옆에 새창 아이콘이 붙어 있기까지 하다.)
근데 그걸 클릭하면 시 도서관에 로그인하라고 하고, 로그인을 하면 또다시 시 도서관 첫 페이지로 튕겨버린다. 이건 정말… 너무 불친절한 UI 아닌가?
‘자료검색’이라는 이름도 헷갈린다.
이건 당연히 우리 시 도서관 자료를 검색하는 메뉴인 줄 알았지, 거기 안에 도 전자도서관으로 가는 링크가 숨어 있을 줄은 몰랐다. 남의 집 DB에 바로 접속하는 것도 아니고 단순 바로가기를 자료검색이라는 이름 밑에 넣어두다니.
도서관 계정이라고 다 되는 게 아니더라
내가 들은 설명은 단순하게 말하자면, 나는 시 도서관 책이음 회원이니까 '도민 인증'을 하면 도 전자도서관을 쓸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시 도서관 계정으로 도 전자도서관을 쓰는 것은, 간단한 본인인증을 거친 후 웹/모바일 브라우저 상에서만 된다.
교보문고 전자도서관 앱에서는 시군 도서관 계정으로는 로그인 자체가 안 된다.
이유는 간단하다.
전자도서관 앱에서 책을 빌려보려면 교보문고랑 계약을 맺은 도서관의 계정이어야 한다.
교보문고 전자도서관 앱에서 검색하면 도서관 목록에 시군 단위 도서관은 나오지 않을 것이다.
그래서 결국에는 도 전자도서관에서 직접 만든 계정이 있어야만 모바일 앱에서도 바로 책을 빌릴 수 있다는 걸 알게 됐다.
즉, 시 도서관 계정을 쓰면 브라우저 상에서 도 전자도서관으로 이동해서 거길 이용 가능하지만, 앱에서 직접 로그인해서 대출하려면 도 단위 계정이 필수다.
결국은 경남대표도서관 회원으로 시작하는 구조
처음엔 대표도서관이랑 전자도서관(구독)이 따로 노는 줄 알았는데, 경남통합전자도서관(구독)이든, 소장형 전자도서관이든 거기서 회원가입하려고 하면 결국 경남대표도서관 회원으로 등록되는 구조다.
다시 말해, 경남이 붙은 도서관 서비스들은 전부 경남대표도서관 아래에 있는 서비스고, 회원 정보도 전부 거기서 관리된다.
시군의 도서관들은 각자 회원 디비를 따로 가지고 있지만, 경남이 붙은 도 단위 서비스는 대표도서관 회원 자격이 있어야 이용할 수 있다.
경남대표도서관은 창원에 있다. 방문하거나 웹사이트에서 본인인증하면 '네가 우리 도민이구나! 정회원이니 이제 맘껏 이용하렴!'... 대충 그런다. (문구 기억 안 남.)
앱 하나로 여러 도서관을 쓰려면, 계정도 여러 개 필요하다
교보문고 전자도서관 앱 하나로 모든 도서관을 연결해서 쓸 수 있으면 편하겠지만, 실제로는 도서관별로 계정이 따로 있어야 하고, 로그인도 따로 해야 한다.
그래서 ‘앱 하나로 통합해서 관리하고 싶다’는 목적이 아니라면, 각 도서관 웹사이트에 들어가서 브라우저로 전자책을 보는 게 오히려 더 간편할 수도 있다. 모바일 브라우저에서도 뷰어가 잘 돌아간다.
검색해 보면 교육청이나 지자체에서 전자도서관 앱을 따로 만든 곳도 보인다.
그러나... 공기관 것이든 업체 것이든, 어쩜 이렇게 전자도서관 앱 리뷰 평가는 한결같이... 그나마 교보문고 전자도서관 앱이 낫다고 생각한다. 아니, 평점이 말해준다.
대표도서관과 통합전자도서관(구독)의 차이는?
사실 아직도 ‘경남대표도서관’이랑 ‘경남통합전자도서관(구독)’이 정확히 어떻게 다른지는 잘 모르겠다.
근데 교보문고 전자도서관 앱에서 두 도서관을 각각 선택해서 들어가 보면, 추천도서나 첫 화면 구성은 살짝 다르긴 해도, 전자도서관 앱 내부 콘텐츠는 당연히 둘 다 '전자책'과 '오디오북'이다.
특히 베스트 도서나 통계 페이지로 들어가 보면, 경남대표도서관이든 통합전자도서관이든 비슷한 자료가 제공되고 있는 느낌이었다.
교보문고 전자도서관 앱에는 각각 등록된 도서관인데, 실제로 보유하고 있는(대출할 수 있는) 도서 목록이 다른 건지 좀 궁금하다.
댓글
댓글 쓰기
개인정보가 바로 보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댓글 검토'를 사용합니다. 이메일 등 개인정보가 있는 댓글은 검토 후에도 공개되지 않습니다.(2025.08.21)